김보경 박사의 "스스로 해내는 아이" 만들기 예화 중심 정리
핵심 내용 아이의 긍정적인 성장과 학습 습관 형성을 위해 부모가 가져야 할 태도와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합니다. 특히 정답을 찾는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아이 스스로 질문하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것, 그리고 건강한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1. 질문하는 아이로 키우기:
* 예화 김보경 박사는 고등학교 시절 수학 시간에 다른 풀이 방법을 질문했다가 "다른 애들 헷갈리게 하지 말라"는 답변을 듣고 질문을 멈추게 된 경험을 공유합니다. 이처럼 아이의 질문을 묵살하는 것은 질문하는 습관을 꺾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 해결책:
* 아이의 질문을 귀하게 여기는 태도를 가지세요.
* 답을 모르면 함께 찾아보거나, "어디서 알 수 있을까?"와 같이 역으로 질문하여 아이의 탐구심을 자극하세요.
* 질문을 통해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느끼는 인식으로 이어지도록 격려하세요.
2. 습관 형성의 5단계 마법
* 예화:운동을 전혀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일주일에 3번, 1시간씩 운동하겠다고 결심하면 괴로움 때문에 실패하기 쉽습니다. 아이에게도 마찬가지로, 갑자기 하루에 1시간씩 영어 공부를 시키면 쉽게 포기할 수 있습니다.
* 5단계:
1.목표 설정 "나는 왜 이 습관을 만들고 싶은가?"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예: 건강하게 살고 싶다)
2. 타겟 행동 선택: 목표 달성에 맞는 쉽고 간단하며 재미있는 행동을 고릅니다. (예: 매일 30분 운동하기)
3. 신호 붙이기: 언제, 어떤 조건에서 행동을 실행할지 신호를 설정합니다. (예: 알람이 울리면 운동 시작)
4. 보상 제공: 행동 뒤에는 반드시 보상이 따라와야 합니다. 행동 자체에서 얻는 보상을 찾아주고, 칭찬이나 작은 보상을 활용합니다.
5. 반복 신호-행동-보상 메커니즘을 2~3주 반복하여 습관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때까지 지속합니다.
3. 건강한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관리:
* 예화 아이가 학원 스케줄로 꽉 찬 하루를 보내는 것은 오히려 학습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스스로 원하는 것을 공부할 시간을 주고, 질문하고 탐구하는 적극적인 학습을 장려해야 합니다.
* 해결책:
* 건강한 수면 습관, 규칙적인 운동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 스스로 원하는 것을 공부할 시간을 확보해 줍니다.
* 힘들 때 심호흡을 하거나, 긍정적인 면을 찾아보는 연습을 통해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키워줍니다.
* 감사하는 연습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4. 부모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
* "One is better than none"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 하나라도 하는 게 낫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으니, 작은 시도라도 격려해 주세요.
* 아이가 선택한 고통은 감내하도록 놔두세요 아이가 스스로 선택한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존중하고 지지해 주세요.
* 부모가 먼저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세요산에 오르는 것이 힘들어도 풍경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며 긍정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부모의 태도가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5. 실리콘 밸리의 교육 방식
* 예화 둘째 친구 아버님은 AI를 활용하여 아이의 문제집을 직접 만들어주고, 아이와 함께 AI와 토론하며 학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핵심 정해진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 시사점 아이의 능력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만들어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화
* 퀴즈 쇼에서 모든 테이블이 정답을 맞췄을 때, 상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규칙을 바꾼 아들의 이야기: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질문의 힘을 보여줍니다.
* 체조를 하면서 손에 물집이 잡히는 고통을 감수하며 훈련하는 둘째 딸의 이야기:스스로 선택한 목표를 위해 고통을 감내하는 과정에서 성장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예화들을 통해 독자들은 김보경 박사의 조언을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아이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